📌 MACD 조건검색식 설정: 12,26,9 vs 20,50,10 수익률 비교
주식 투자에서 많이 활용되는 기술적 지표 중 하나가 MACD (이동평균 수렴 확산 지표)입니다.
하지만 MACD도 설정값에 따라 검색되는 종목과 수익률이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실제 HTS를 통해 조건검색식을 설정하고, 2025년 6월 9일 기준으로 30일간 보유했을 때 어떤 수익률 차이가 있었는지 비교 분석해보았습니다.
🔍 1. MACD 조건검색식 설정 요약
설정값 | 설명 | 활용 스타일 |
---|---|---|
12,26,9 | 기본 설정값, 단기 민감도 높음 | 단타, 스윙, 초보자용 |
20,50,10 | 장기 흐름 중심, 신호 늦음 | 중장기, 추세매매, 보수적 접근 |
두 조건식 모두 Signal선 상향돌파를 기준으로 검색했습니다.
📊 2. 조건검색식 성과 비교 (30일 보유 기준)
✅ MACD(20,50,10) 설정
- 검색 종목 수: 65개
- 시장 대비 수익률: -12.99%
- 코스닥 대비 수익률: -5.14%
- 상승 종목 비율: 30.76%
- 대표 상승 종목: 오브젠(+59.86%), 에프앤에스텍(+53.06%)


✅ MACD(12,26,9) 설정
- 검색 종목 수: 108개
- 시장 대비 수익률: -14.75%
- 코스닥 대비 수익률: -6.90%
- 상승 종목 비율: 38.88%
- 대표 상승 종목: 요르비텍(+47.34%), 두산퓨얼셀2우B(+34.88%)


📈 3. 실전 비교 분석
종목 수는 기본형인 12,26,9가 더 많았지만, 시장 대비 수익률은 두 설정 모두
최근 하락장에서 부진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다만 상승 종목 비율은 12,26,9 설정이 더 높아, 장세에 따라 유연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요약하자면:
- 12,26,9: 민감하고 빠르게 종목을 포착하나, 잘못 걸리면 손실도 빠름
- 20,50,10: 신호는 느리지만 추세 전환 후 잡기 좋음
📌 마무리 및 다음 글 예고
MACD 설정은 단순히 지표 수치만 보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시장 분위기와 보유 기간에 따라 전략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20일 매물 소화 종목은 몇 퍼센트나 수익을 냈을까?”에 대해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해드릴 예정입니다.
다음 글도 기대해 주세요!
'주식 조건 검색기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일선 매물 소화 검색식 성과 분석|실전 데이터로 검증 (1) | 2025.08.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