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ACD 조건검색식 수익률 비교|기본형 vs 변형형 직접 테스트해봤습니다

by kukfolio 2025. 7. 22.

MACD 조건검색식 비교|기본형 vs 변형형, 수익률 차이는?

MACD는 많은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추세 추종형 지표입니다. 하지만 그 수치 설정에 따라 완전히 다른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키움증권 조건검색기를 활용해 MACD 기본형(12,26,9)과 변형형(20,50,10) 조건을 적용하여 실제 수익률과 종목 성과를 비교해봤습니다.

두 조건 모두 공통적으로 Signal선 상향돌파를 트리거로 잡았으며, 보유기간은 30일로 설정해 실전 투자를 가정했습니다.

✅ 조건 구성 비교

항목 MACD 기본형 MACD 변형형
MACD 설정값 12, 26, 9 20, 50, 10
조건식 트리거 Signal선 상향돌파 Signal선 상향돌파
보유기간 30일 30일

📈 성과 비교 요약 (2025.06.05 기준, 30일 백테스트)

① MACD 기본형 (12,26,9)

  • 검색 종목 수: 122개
  • 전체 수익률 평균: +4.43%
  • 시장 대비: -4.18% (코스닥 기준)
  • 코스닥 수익률: 2.59%
  • 대표 급등 종목: 다날(+140.97%), 오브젠(+104.93%), 오가닉티코스메(+90.83%)
  • 특징: 종목 수 많고 급등 종목 포함 → 단타 및 변동성 매매에 유리

② MACD 변형형 (20,50,10)

  • 검색 종목 수: 89개
  • 전체 수익률 평균: +3.90%
  • 시장 대비: -4.71% (코스닥 기준)
  • 대표 종목: 헥토파이낸셜(+43.52%), 티앤엔터(+52.25%), 일진디스플(+44.51%)
  • 특징: 종목 수는 줄지만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 종목 중심

📊 비교 요약 표

항목 MACD 기본형 MACD 변형형
검색 종목 수 122 89
평균 수익률 +4.43% +3.90%
시장대비 성과 (코스닥) -4.18% -4.71%
상승 종목 비율 54.09% 59.55%
급등 종목 수 10개 이상 5개 이상

🔍 해석: 어떤 MACD가 실전에 유리할까?

MACD 기본형(12,26,9)은 많은 종목을 포착하면서도, 단기간 급등 종목도 함께 포착하는 구조입니다. 반면 MACD 변형형(20,50,10)은 좀 더 추세 안정성이 높은 종목이 많지만, 전체 성과는 약간 낮았습니다.

  • 📌 단타/변동성 대응: 기본형 추천
  • 📌 추세 안정, 보수적 매매: 변형형 추천

💡 결론

MACD는 숫자만 바꿔도 전략이 달라집니다.
단순히 조건식만 따라 쓰지 말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버전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한 줄 요약

많이 잡고 짧게 먹을 것인가, 덜 잡고 길게 갈 것인가. MACD 수치는 그 선택의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