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월봉 골든크로스 조건식 성과 분석|보유 기간에 따른 승률 변화

by 주식 검색식 같이 만들어보고 싶어서 만들었습니다. 2025. 9. 2.
반응형

주식 투자에서 바닥을 잡는다는 건 언제나 매력적인 전략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기 하락을 겪은 종목 중, 반등 시그널이 막 포착된 종목을 찾기 위한 조건식을 구성하고,
보유 기간에 따른 승률 변화를 테스트해본 결과를 공유드리려 합니다.

🔎 조건식 구성

  • 조건 1: 월봉 기준 24개월선 < 12개월선 (역배열)
  • 조건 2: 월봉 6개월선이 12개월선을 골든크로스

이 조건은 장기 하락 종목 중 단기 반등의 조짐이 있는 종목을 선별하는 전략입니다.
겉보기에는 단순한 조합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장 흐름과 시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민감한 조건이죠.


📊 보유 기간에 따른 승률 변화

키움증권 HTS의 조건검증 기능을 통해 이 조건식을 적용해 본 결과,
보유 기간에 따라 승률이 완전히 다른 흐름을 보였습니다.

✅ 20~30일 보유 시

조건 발생 직후 짧은 기간 내 일부 종목에서 단기 시세가 나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땐, 승률 자체는 그리 높지 않았습니다.
반등이 시작될 듯 말 듯 애매한 흐름에서 진입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 40~50일 보유 시

오히려 이 구간에서는 승률이 더 떨어지는 현상이 관찰됐습니다.
단기 시세가 끝난 후 다시 조정이 나오는 구간이거나,
반등에 실패한 종목들이 흔들리는 시점이 여기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흔들리는 시기”에 괜히 오래 들고 있다가 손해만 보는 케이스가 많았죠.

🔁 60일 이상 보유 시

놀랍게도 3개월 이상 보유한 경우에는 승률이 다시 개선되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실제로 상승 전환에 성공한 종목들만 생존해서 좋은 성과를 냈기 때문입니다.
조건만으로는 초기에 구분하기 어려운 종목들이, 시간을 통해 필터링된 것 이라 볼 수 있죠.

📌 전략적 시사점

  • ✔ 조건만으로 “바닥이다”라고 단정짓기엔 위험
  • ✔ 단기 시세 노릴 땐 신속 대응, 익절 타이밍 명확히
  • ✔ 중기 보유는 오히려 위험 구간이 될 수 있음
  • ✔ 오히려 장기 보유 전략이 더 좋은 승률을 보여줄 수도 있음

결국 중요한 건, 조건보다도 '타이밍'과 '보유 기간'의 선택이라는 점입니다.
시장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단순한 골든크로스 하나로 설명되지 않더군요.


✅ 마무리

이번 실험을 통해 다시 한 번 느낀 건, 시간이 진짜 종목을 가려낸다는 것입니다.
조건식은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지만, 그 이후의 매매 전략은 철저하게 시간과 함께 설계되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