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이 2025년 9월 정기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될 예정입니다. 아직 본회의를 통과하진 않았지만, 정부와 국회 모두 추진 의지가 강하고, 기업들은 이미 선제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하고 실제로 소각까지 진행 중입니다.
이로 인해 ‘자사주 소각 수혜주’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질적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주요 기업들을 통계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 자사주 매입·소각 통계 (2022~2025)
연도 | 자사주 매입금액 | 자사주 소각금액 |
---|---|---|
2022년 | 6.5조원 | 3.1조원 |
2023년 | 8.2조원 | 4.8조원 |
2024년 | 18.8조원 | 13.9조원 |
2025년 1~7월 | 16.0조원 | 18.3조원 |
※ 출처: 금융위원회 월간 기업가치 제고 현황('25.7)
💡 왜 자사주 소각 수혜주가 뜨는가?
- 발행주식 수 감소 → 수급 개선 + 주가 상승 압력
- EPS / BPS 상승 →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
- 배당 유인 정책과 시너지 → 저율 분리과세(35% 이상 배당 기업) 정책 추진 중
- 이소영 의원 발의 (2025.04): 배당성향 35% 이상 기업, 배당소득 저율 분리과세
- 김현정 의원 발의 (2025.08): 세율 추가 인하 및 대상 확대 (25% 이상 기업 포함)
- 정부(기획재정부): 당정 협의 통해 세제개편안에 포함 검토 중
- 자사주 소각 정책과 시너지 기대: 기업가치 제고 + 주주이익 환원 효과
🔥 대형 수혜주 TOP 5
- 삼성전자 – 10조 자사주 매입 계획 중 3.91조원 집행 완료, 일부 소각. EPS 개선 기대.
- 신한지주 – 8,000억 자사주 매입 및 환원 공시. 적극적인 주주가치 제고 전략.
- KB금융 – 6,600억 자사주 소각 공시. 배당과 소각 병행 중.
- 기아 – 자사주 매입 후 50% 소각 정책 시행. 장기 주주에 유리.
- KT&G – 자사주 비중 14%, 정기적인 소각 및 고배당 기업.
📈 자사주 비중 높은 수혜주들 (중소형)
- 인포바인 – 자사주 보유 53%, 수급 제한과 EPS 상승 기대. 최근 주가 2배 이상 상승.
- 신영증권 – 자사주 비중 53.1%, 배당 정책도 강함.
- 일성아이에스 – 48.75%, 최근 소각 이력 보유.
- 조광피혁 – 46.57%, 배당은 없지만 소각 잠재력 풍부.
- 매커스 – 46.23%, 반도체 테마 + 자사주 테마 중복 수혜.
- 텔코웨어 – 44.11%, 통신 관련 IT 기업.
- 흥국화재 – 소각 기대감으로 주가 20% 이상 급등 사례.
✅ 정리하며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은 아직 국회를 완전히 통과하진 않았지만, 정부와 국회가 강력히 추진 중이며 시장은 이미 반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사주 보유 비중이 높고, 기업 규모와 배당 정책이 뒷받침되는 기업들은 정책 수혜주로 실질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지금이 자사주 소각 수혜주를 선별해 투자 전략을 세울 좋은 타이밍일 수 있습니다.
2025.09.02 - [주식] -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9월 국회 논의 앞두고 기업들 '소각 러시'
2025.09.02 - [주식] - 월봉 골든크로스 조건식 성과 분석|보유 기간에 따른 승률 변화
2025.08.15 - [주식 조건 검색기 만들기] - 볼린저밴드 조건검색식|20,2 VS 40,2, 어떤 설정이 수익에 유리할까?
2025.08.11 - [주식 조건 검색기 만들기] - 조건검색식 만들기 | 주가 20일선 ±3% + 거래량 전일 대비 2배 ↑ 의미와 활용법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란티어, 헤이디언(Hadean)과 파트너십 체결…전장 시뮬레이션 AI 시장 본격 진입? (1) | 2025.09.10 |
---|---|
아이온큐, 아이온 페더럴 설립…미국 정부 양자컴퓨팅 사업 본격화 (1) | 2025.09.10 |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9월 국회 논의 앞두고 기업들 '소각 러시' (0) | 2025.09.02 |
월봉 골든크로스 조건식 성과 분석|보유 기간에 따른 승률 변화 (0) | 2025.09.02 |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주식병합, 거래정지 이유와 영향은? (0) | 2025.09.02 |